호남정맥 제6(추령~감상골재)구간중 첫째, 추령~장군봉~연자봉~내장산(신선봉)~까치봉~순창새재
호남정맥 제6구간 (추령~내장산~백암산~감상골재)
▣ 2013. 07. 28. 일. 비온뒤 흐림. 23~31℃
대구마루금산악회 정맥팀에 동참(23명). 누락구간 보충.
▣ 총거리 : 19.3km (나의 실행기록, Pocket GPS S1-BL)
-착오진행후 복귀 1.4km포함. 순정맥 실제 17.9km
*마루금산악회 도상17.0km, 최근 선답실행 17.9km
▣ 총시간 : 약8시간 (08;56~16:59)
-착오진행 25분 포함. 순정맥 7시간35분
-중식과 휴식, 볼일과 조망 등 60분 포함. 순산행 7시간.
▣ 주요지점별 거리와 시간
08:56 추령주차장
09:15 등로 좌상에 산죽봉(420m)
09:18 지도상 ▲440봉 (국립공원표석/좌꺾어내려) 1.1km, 22분 (누계/분)
09:28 유군치 (안내도,안내문/이정표:장군봉0.97km) 0.7km, 10분 (1.8/32)
09:56 ▲장군봉(용바위) (헬기장/표지696m/연자봉0.99). 1.1km, 28분 (2.9/60)
10:20 ▲연자봉 (안내분/675m) 0.9km, 24분 (3.8/84)
10:36 내장사갈림삼거리.안부 (연자봉0.7/신선봉0.4km)
10:49~10:56(7분간) 산불감시초소 아래서 볼 일
10:57 ▲신선봉 (정상석:내장산최고봉763m/헬기장) 1.2km, 37분 (5.0/121)
11:20 헬기장 (이정목:까치봉0.41/신선봉1.03km)
11:31~11:34 ▲까치봉 (안내도717m/구조목/이정목) 1.4km, 34분 (6.4/158)
11:43 까치봉갈림길(까지봉0.3/송동근재2.0/정맥복귀)
12:08~12:30(22분) 지도상 ▲591봉 (전망바위)(“배댕기산” 비닐표지)(중식)
12:42 착오진행반환점 (구조목:순창새재0.9/까치봉2.08) 2.1km, 46분 (8.5/226)
12:54 정맥복귀점(소죽엄재갈림길)(이정목뒤 꺾어내려) 0.7km, 12분 (9.2/238)
13:07 소죽엄재 (넓은안부,팻말) 0.6km, 13분 (9.8/251)
13:13 석축무지봉 (505m)
13:24~13:28(4분) ▲536봉 (영산기맥분기점)(“서재봉”) 0.8km, 17분 (10.6/272)
13:32 순창새재 (안내도/이정목:까치3.0/상왕2.3/입암)
13:54 지도상 ▲646봉 (잠목속 이정목(상1.28/순1.07) 1.3km, 26분 (11.9/298)
14:07~14:10(3분) 휴식
14:30~32 ▲상왕봉(백암산741m/안내도) 1.3km, 33분 (13.2/336)
14:48 ▲도집봉(732m) (바위봉과 잡목/무표지). 0.6km, 16분 (13.8/352)
15:06 백학봉,백양사갈림길
15:09~15:12(3분) 헬기장(721m) (길주의:정맥갈림길) 0.9km, 21분 (14.7/376)
(안내도와 플랑카드뒷편 또는 백학봉길 좌숲길)
15:15 구암사,백학봉갈림네거리 (출입금지표지판,안내도)
15:25 지도상 ▲688봉 (암반위 정상)
15:53 넓은 임도 (좌고추밭)
16:01 곡두재 (출금표지판/좌우길,우넓은 백양사길) 2.1km, 49분 (16.8/425)
16:16 수목장림 위 지도상 ▲406봉(잡목속 헬기장)
16:31~16:36(5분) 지도상 ▲442봉 (“명지산”비닐표지) 1.4km, 30분 (18.2/460)
16:44 시멘도로접속 (중평용산길)
16:59 감상골재 (지산리버스정류장) (49번4차선도로) 1.1km, 23분 (19.3/483)
(장성군 북하면 북평리 강선마을입구, 정맥산행종료)
▣ 참고 및 특이사항
○ 내장잔권은 국립공원이라 등로와 이정표,구조목 및 안내도 등이 잘 완비되어 있어
진행에 어려움이 없을 것 같으나, 오히려 갈래길이 많아 잘 보아야한다.
-특히 까치봉지나 591봉 아래를 내려오면서 발아래 바위들만 보면서 무심코 진행타가
소죽엄재갈림 꺾임길을 놓치고 순창새재방향으로 계속 내려가다가 되돌아 왔다.
정맥갈림길엔 순창새재0.9km이정표가 있지만 이를 무시하고 뒤편으로 꺾어야했다.
( 산대장이 주의를 주었고, 국토지리원의 지도편집본에도 빨갛게 선을 그어놓았는데...)
○ 3년전가을, 내장산7봉 종주와 백암산순환종주에도 불구하고 호남정맥연계코스를 위한
이번 산행이 영 낯설기만하다. 계절과 산행목적에 따라 산길이 달리 보인다.
○ 감상골재 도로옆 강선정정자에서 일찍 하산한 회원님들이 하산주를 즐길동안 강선마을
빈집의 수돗간에서 세신타가 주인어른 내외를 만나, 긴 대화로 물값 면제혜택을 받음.
.
구간산행 참고지도 (마루금산악회/백두네트/국토지리원)
죽령주차(상)과 주차장 우측끝의 철망울타리를 지난 산행 들머리(하)
전망바위에서 뒤돌아 보고.
420봉 (등로좌상의 산죽봉)
정상에 국립공원 표석이 세워진 440봉. 여기서 좌측으로 크게 꺾어내린다.
(*사진으로 내용확인 가능, 설명생략)
유군치에서의 된비알 산죽지대
지난번 종주시에도 지도상의 문필봉을 볼 수가 없었는데 아무래도 여기가 문필봉이 아닌지(?).
내장사갈림 안부(상,하)
까치봉갈림삼거리(상,하). 정맥은 좌하행이나 정맥외 까치봉에 다녀오기로 한다.
전방의 까치봉 조망
뒤돌아본 신선봉과 암벽
되돌아 온 갈림길에서 일단 소둥근재방향으로.
안부(사진 상과하)에서 올라가면.
전망바위와 591m봉
"배댕기산"이란 얼토당토 않는 산이름을 뿥여놓은 비닐표지. 중식해결한다.
그냥 무심코 내려가다 이 구조목에서 잘못내려 온 것을 알고 되돌아 간다.(알바)
한참 내려간 길을 힘겹게 올라와보니 좌측으로 이정목과 시그날이 뚜렷한데도 놓쳤으니. 1.4km 25분을 더 즐겼다.
소죽엄재에서 올라온 봉우리 정상에 석축무지가 여기저기에 산재. 지도상 516봉
산죽을 올라온 525m봉. 또다시 앞에 봉우리가 솟아있다.
지도상 536봉. 영산기맥분기점봉인데 아무런 표지가 없다.
"새재봉"이란 봉명표지 뒷면에 "영산기맥분기점"이라 쓰고 걸러둔다.
순창새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