▲형산강발원지라는 유래와 어원의 호기심으로 벌목 급경사 된비알을 네 발로 기어오른 인내산은 허망한 느낌마져 들고
▼9년전 낙동정맥 종주시의 추억을 떠올리는 남사봉은 점상표목이 새로 붙은 것 외는 그대로다.▲ 강풍과 맹추위만.
(경주)도리1리마을회관 인내산 남사봉 한무당재 원점회귀
▣ 2020.12.05.수. 흐림. -8~-1℃(강풍동반 강추위). 대기 좋음.
나홀로 산행. 승용차 이용(경비₩14,000=왕복104km+통행료2600)
▣ 총거리 : 13.5km (나의 실행거리)
- oruxmaps 도상거리 : 12.6km
▣ 총시간 : 5시간05분 (09:30~14:35)
- 조망 및 표지부착 등 비이동 25분 포함 (하산 후 중식)
(실제 순산행시간 4시간40분)
▣ 주요지점과 시간
09:30 도리1리마을회관 주차장(경주시 서면 도리길 27)
09:51 야운공 묘지
10:31/34(3) ◬389.5m봉 (삼각점, 경주413)
11:11/21(10) ▲인내산(돌무지 정상석/표지 부착)(형산강발원지)
11:38/41(3) 헬기장 (바로위 ▲468m봉)(인내산 조망)
11:45 임도(이정목:황수탕길/건너 팔각정 쉼터)
11:55 ▲508m봉 (유인산불감시초소/낙동정맥과 주변 조망)(좌꺾)
12:01/03(2) ▲516m봉 (삼각점, 경주444)(남사리 및 구미산 조망)
12:27/33(6) ▲남사봉(南沙峰468m)(정상표목)(낙동정맥 접속합류)
(※ 2011.1.2. 신년산행겸 낙동정맥 종주구간 기산행)
12:54 임도삼거리(이정목:경주시발점)(영천시 고경면과 시군경계)
13:02 ▲308봉 13:10 ▲270봉
13:16 패인 안부 (돌무지/서낭당 흔적)
13:29 국지원지형도상 ▲266m봉 (조망)
13:40 한무당재(=할마당재)(909번지방도, 심곡로)(낙동정맥 이탈)
13:44 경주시표지석 (경주와 영천 경계)
14:06 도리2리회관(경주 서면 도리323-1)(인내산 또다른 출발지)
14:35 도리1리회관 (원점회귀, 은행나무군락 관람 후 산행종료)
▣ 산행후기
○ 지난 20.10.20 경주 무장봉 산행후 귀가길에 은행단풍 명소로
유명하다는 도리마을 탐방시 알게 되어 염두에 두었던 인내산,
- 형산강발원지로 이곳에서 출발한다기에 마땅한 갈 곳이 없던
차에 접근성과 지리적 호기심 자극의 산행코스로 선정.
○ 형산강발원지로는 지난 20.5.27트레킹한 영남알프스둘레길3코스
진행기록에서 언급한 울주군 두서면 내와리 백운산 탑골샘과
함께 이곳 경주시 서면 도리의 인내산이 서로 형산강발원지라고
울주군과 경주시가 논란하던 중
- 형산강 하구인 포스코가 위치한 포항시 남구 송정동해안에서
경주 인내산까지 거리는 63.95km, 울주군 백운산 은 62.2km로
통상 발원지는 강 하구로부터 가장 먼 물길의 시작을 원칙으로
하기에 경주시 인내산이 발원지로 공인되었음.
- 한편 백운산 탑골샘은 울산지역의 태화강 발원지로 안내도와
현지에서도 정리되어 이젠 더 이상 논란의 여지가 없어짐.
- 하지만 이번 산행에서 주민과 산불감시인들의 이야기로는
인내산 동쪽에 샘이 있다는 것만 알고 있을 뿐 졍확한 위치는
알지 못하여 발원지라는 인내산만 확인, 발원샘은 숙제로 남음.
○ (참고1) 인내산의 명칭은 오르막길이 힘들어 참고 인내하고
오른다고 하여 인내산(忍耐山)이라고 불리운다 하는 데
- 국토지리정보원의 인내산 어원은 인출산(印出山)에서 변형.
예전에 큰 해일이 밀려왔을 때 꼭대기가 도장(印)만큼만
남았다고 하여 인출산이라고 불리었다고 함.
○ 이번 산행에서는 인내산의 유래와 어원에 걸맞는 지형적
흔적이나 신비함은 찾을 수 없고 일반 지맥급 수준에 불과
- 낙동정맥 종주하는 산님들이 곁들여 산행하거나 경주
근교산행지로서의 용림산-구미산-인내산을 연계한 종주
코스로 잡는 것이 일반적임.
- 의산도 6년전(14.10.19) 용명3리에서 용림산-구미산까지
산행, 원점회귀가 어려워 인내산까지는 포함할 수 없었음.
○ (참고2) 형산강의 유래는 예전에 포항과 경주사이에 형제산
이라고 있었는데 홍수가 너무 자주 나서 물길을 내기 위해
형제산을 분리시켜 형산과 제산으로 갈리지고 그 사이로
강이 흐르게 되어 그 강을 형산강이라 불렀다 함.
▣ 실제 산행기록 gps트랙파일
[파일:5]
[파일:6]
참고지도. 지도(도리2리회관)와 달리 도리1리회관에서 출발도착.
▼실제 산행한 기록지도 (구글어스, 로커스 및 오룩스맵스)와 오룩스 구분세분 지도 및 통계
도리1리회관 경노당 앞 무료 공용주차장에 주차하고 산행출발
카페 뒤쪽으로 돌아 개가 짖는 대밭입구에서 뒤로 올라가면 능선으로 들어갈 수 있다.
주능선에서 능선으 산능선은 길이 없고 우측 사면으로 묘지길를 일단 따른다.
봉 뒤로 제일 높은 봉인 인내산을 올려다 보며 작은 봉을 여러개 넘고 비석묘에서 본격 오르막
깊은 낙엽과 벌목가지들 위로 오른 389.5m 삼각점봉
안부로 내렸다가 다시 오르면 부러진 굵은 나무가지가 매달려 바람에 흔들리는 데 떨어지면 큰 사고날 것.
유래가 있는 인내산 정상엔 돌무지 위에 돌에 정상을 표기만 해 놓아 별도 비닐접착표지를 부착
헬기장과 468m봉에서의 조망
이번 구간 제일 좋은 조망지인 508m봉. 산불초소 관리인이 나와 인내산 설명.
낙동정맥 마루금 조망
516봉과 삼각점
푹푹빠지는 낙엽더미가 적설등로에 러셀진행하는 것 같다.
9년전 낙동저맥 종주시 지났던 남사봉. 좌측 양철 정상표식만 있었고
그땐1월이었는 데도 사진상 복장이 간편했더랬는데 오늘은 무지한 강풍에 종일 영하의 맹추위.
임도를 지나며 보이는 훈련장을 보니 옛 기억이 아직 살아난다.
▲갈림길에서 우측 봉우리로는 생략하고 사면길 끝에가면 봉에서 내려오는 능선에 경주시계 이정목▼
▲308봉과 건너봉 위의 조림목 조망.▼
▲270봉에서 내려가면 움푹 패인 안부. 우측의 돌무지가 서낭당 흔적▼.
솔밭길을 올라 255봉에 올라서 보는 조망은 일품. 건너편산 위의 조림목과 산하 소류지에 비치는 은물결 그림자.
산주름이 부드럽고 포근하게 구비구비 흐름이 색시까지한다.
▲국토지리정보원 지형도상 266m봉에 내리면 묘지 아래로 909지방도로가 보인다▼.
한무당재. 할마당재. 909지방도를 건너 정맥길따라 더 진행했다가 덕고지 마채기로 내리려다
정맥종주시 지났던 특색없는 삼각점봉만 경유하고 너무 추워서 여기서 원점으로 향하기로.
참고지도상 출발지이자 통상 산악회 출발지인 도리2리회관
회관 건너편 육각정자 쉼터 우측으로 오르는 길이 보인다.
▲도리보건진료소 앞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원점 도리1리로 가면서 농협 건너 은행나무 군락지 보고▼.
도리1리 마을에 분위기 있는 곳을 돌아보고 주차지로 회귀한다.
주차지롤 돌아와 오늘 산행을 마감한다.
형산강 발원의 열쇠를 완전히 풀지는 못했지만
5시간여의 동절기 내한훈련과 체력관리 산행으로 만족하면서
오늘도 감사드립니다.